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반려동물
- 밀웜
- 곤충만들기
- 사슴벌레
- 무당벌레
- DIY만들기
- 자연의이해
- 곤충박물관
- 반려곤충
- 곤충
- 미래식량대체식량
- 아이들 창의력키우기
- 생명의신비함
- BUGS PLAYGROUND
- 쌍별귀뚜라미
- 애완곤충
- 곤충놀이터
- 아이들 곤충체험
- 곤충표본전시
- BUGSPLAYGROND
- 갈색거저리
- 정서함양
- 귀뚜라미
- 식용곤충
- 곤충키우기
- 곤충퀴즈
- 곤충장난감
- 곤충완구
- 아빠와 함께 하는 놀이
- 장수풍뎅이
- Today
- Total
목록About Bugs (5)
곤충놀이터
갈색거저리[1](mealworm beetle)는 거저리과에 속하는 곤충의 일종이다. 곡물거저리와 비슷하지만 애벌레 때 더 크다. 갈색거저리의 애벌레는 흔히 밀웜(영어: mealworm)이라 부르고 주로 애완동물의 먹이와 식용 곤충으로 많이 사용된다.밀웜은 갈색거저리 애벌레로 생애주기는 알(egg), 애벌레(larva), 번데기(pupa), 성체(adult) 단계로 대체로 3개월 정도면 한 주기가 끝난다. 먹이로 이용하는 때는 애벌레 단계다. 먹이와 온도에 따라 다르지만 15회 내외로 탈피한 후 번데기가 되고, 번데기에서 2주 정도 지나면 성충이 된다. 성충으로 우화한 후 처음에는 연한 갈색이다가 점차 검은색으로 변한다. 밀웜은 먹이 없이 한 달간 생존할 수 있어 관리가 매우 편하다.[네이버 지식백과] 밀..
쌍별귀뚜라미(Gryllus bimaculatus)는 메뚜기목 귀뚜라미과의 곤충이다. 몸은 전체적으로 검고, 앞날개 기부에 노란 점이 있기 때문에 영어로 'two-spotted cricket'이라 한다.쌍별귀뚜라미는 한국 토착종은 아니지만, 밀웜처럼 주로 애완동물의 먹이용이나 애완곤충으로 대량 양식된다.
몸 길이가 수컷은 38mm, 암컷은 25~40mm이다. 수컷은 코끼리의 귀처럼 머리 부분이 넓게 늘어났는데 크기나 생김새가 다양하다. 큰 턱이 작은 암컷은 몸이 황금색 잔털로 덮여있어 다른 종의 암컷과 쉽게 구별된다. 한국, 일본, 중국, 러시아에 분포하며 성충은 늦은 봄부터 초가을까지 볼 수 있다. 주로 참나무가 많은 곳에서 생활한다.[네이버 지식백과] 사슴벌레 (국립중앙과학관 - 곤충정보, 국립중앙과학관)상업적 용도로 사용 가능 출처 안 밝혀도 됨
장수풍뎅이[ Dynastid beetle ]몸 길이는 30~85mm이며 몸은 전체가 흑색이다. 몸 크기는 뿔쇠똥구리보다는 현저히 작고, 머리의 앞가두리는 부채 모양이며, 뿔 모양의 돌기는 작다. 한국, 일본, 중국, 타이완, 인도차이나에 분포하며 낙엽활엽수림에 서식한다. 애벌레는 낙엽이 두텁게 쌓인 곳에서 살며 야행성으로 밤에는 불빛에도 날아든다[네이버 지식백과] 장수풍뎅이 [Dynastid beetle] (국립중앙과학관 - 곤충정보, 국립중앙과학관) 상업적 용도로 사용 가능 출처 안 밝혀도 됨
무당벌레는 유충과 성충기간 모두 진딧물을 포식한다.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무당벌레류는 약 90여종 이상이며 모두 포식성이다. 28점박이무당벌레,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가 가지, 감자등을 가해하는 해충이다. 진딧물이 대 발생했을 때 방제 효과가 빠르게 나타난다. 성충으로 월동을 하며 10월 중하순경부터 남향으로 위치한 바위나 담 같이 양지 바른 곳에 수천 마리씩 모여드는 특성이 있다. 성충으로 방사하였을 경우 진딧물을 포식한 다음날부터 하루에 30개 이상의 알을 낳으며, 산란된 알은 노란색으로 3~4일 후면 유충으로 부화되어 유충들이 진딧물 포식을 한다. 진딧물을 주로 포식하지만 온실가루이 약충, 응애류, 나방류의 알 등도 포식하며, 유충과 성충기간에 약 1,000마리의 진딧물을 포식한다. 성충이 일생 동안 ..